Muscle : Rectus abdominis(복직근)
1. Origin(기시부)
: pubic crest & symphysis(치골 능선과 치골 결합)
2. Insertion (정지부)
: costal cartilage of 5~7, xiphoid process(늑연골 5,6,7번과 검상돌기)
3. Function (기능)
: Flexion of trunk and supports compress of abdominal contents (몸통 굽히기, 뱃속의 장기가 압박되지 않도록 보호 ) 보행 시 골반을 안정시켜 준다.
주된 기능
: 가슴부위 앞부분을 아래로 당기거나 골반 앞부분을 끌어올린다. 척주를 앞쪽으로 굽힌다.
4. Character (성격)
① vertebral joint(척추관절)의 움직임이 origin & insertion 모두에서 일어난다.
② muscle fiber의 수축방향과 sarcomere(근절)의 수축방향이 일치한다.
③ linea alba와 tendinous intersection(힘줄 교차로)로 인해 구획되어 있다.
④ 복강 내 압력의 변화를 통괄하는 근육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isometric(등척성)을 실시하는 근육이다.
5. Resistance (저항)
Gravity (중력)
: origin과 insertion의 길이가 동시에 변하므로 복합적 분석이 필요하다. 대체적으로 concentric(단축)할수록 저항이 증가한다.
Variation resistance(다양한 저항의 변화)
: eccentric & concentric(신장 & 단축) 시 모두 추가적 저항을 설정하는 것이 운동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.
6. Isolation(고립)
: origin을 고정하는 경우 pubis(치골)에 부착되어 있는 adductors(내전근)를 isometric 시킬 수 있도록 저항을 설정하여야 하며 vertebral joint(lumbar)가 extension(폄)되지 않도록 scapula(견갑골)를 protraction(전인)시켜 유지합니다 insertion을 고정하는 경우 xipoid process & costal cartilage(검상돌기 & 늑 연골)를 고정하기 위해 pectoralis major(대흉근)와 minor, serratus anterior(소흉근, 전거근)등으로 insertion을 isometric 시킬 수 있도록 하고 hip joint(고 관절)의 flexion을 제한해야 한다.
7. 사용동작
: 위를 보고 누운 자세에서 손을 사용하지 않고 일어난다. 배변 시 숨을 들이쉬어 배에 힘을 준다. 큰소리를 낸다.
8. 지배신경
: 갈비사이신경(T7~T11), 갈비밑 신경(T12)
9. 운동 종류
: 크런치, 리버스 크런치, 싯업, 레그 레이즈, 행잉 레그 레이즈, 케이블 크런치 등등
'기능 해부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근육(Muscle) : 내복사근(Internal Oblique) (10) | 2022.12.30 |
---|---|
근육(Muscle) :복횡근(Transverse Abdomins) (32) | 2022.12.29 |
근육(Muscle) : 상완이두근(Biceps brachii) (31) | 2022.12.21 |
근육(Muscle) : 상완 삼두근(Triceps brachii) (11) | 2022.12.20 |
근육(Muscle) : 소흉근 (Pectoralis minor) (0) | 2022.12.1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