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장두 2.단두

 

Muscle : Biceps brachii(상완이두근)

1. Origin (기시부)

: ① Short head: coracoid process of scapula (짧은 갈래: 견갑골 부리돌기)

  ② Long head: supraglenoid tubercle of scapula (긴 갈래: 견갑골 관절 위 결절)

 

2. Insertion (정지부)

: Tuberosity of radius (요골 거친 면) Bicipital aponeurosis (이두근의 널힘줄)

 

3. Function (기능)

: Flexion of elbow and supination of forearm (팔꿈치 굽히기와 아래팔 회외) Short head: flexion of humerus (짧은 갈래: 위팔뼈 굽히기)

 

4. Character (성격)

: ① 두 개의 머리가 각각 다른 origin에 부착되어 있으며, elbow joint(팔꿈치 관절) 중 supination(회외전)과 pronation(회내전) 하는 radius(요골)가 insertion(정지부)이므로 radius의 움직임으로 인해 prime mover(원동기)가 결정된다.

- supination : short head(단두)의 장력증가, 운동의 진행 방향과 근수축방향의 일치

- pronation : long head(장두)의 장력증가, 운동의 진행 방향과 근수축방향의 일치

 

: ② insertion이 radius의 proximal(근위)이므로 elbow joint의 각도가 180°~90° 까지는 brachialis(상완근)가 같이 참여하고 90°를 넘어서면서 biceps brachii가 작용한다

 

: ③ muscle belly의 중앙부위가 두꺼운 층을 이루므로 isometric을 통해 더 많은 muscle fiber에 저항을 전달할 수 있다.

 

5. Resistance(저항)

      Gravity (중력)

: elbow joint의 각도가 180°~90°의 움직임에서 저항이 점점 증가하며 90° 일 때 최대이다. 그 이상의 움직임에서 점점 감소한다.

 

6. Variation resistance (다양한 저항의 변화)

: elbow joint의 각도가 90°~180°로 갈수록 저항이 작아지므로 이때 저항이 추가될 수 있도록 설정한다.

 

7. Isolation (고립)

: brachiialis(상완근/위팔근)와 brachiiaradialis(상완요골근/위팔노근)를 고립하기 위해서 pronation(회내)을 제한하면 된다.

 

8. 웨이트 트레이닝 종류

: 바벨컬, 덤벨컬, 해머컬, 케이블컬, 리버스컬, 컨센츄레이션컬, 암컬, 프리처컬 등등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