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
Muscle : Pectoralis major(대흉근)
1. Origin(기시부)
: medial 2/3 of clavicle, sternum, costal cartilage 1~6
[빗장뼈(쇄골) 안쪽 2/3, 복장뼈(흉골) 가쪽 면과 갈비 연골(늑연골) 1~6]
2. Insertion (정지부)
: Lateral lip of bicipital(intertubercular) groove of humerus
[위팔뼈 결절(사이) 고랑의 가쪽 능선]
3. Function (기능)
: Adduction, horizontal adduction and medial rotation of humerus (위팔뼈의 모음, 수평 모음, 안쪽 돌리기)
flexion of humerus(위팔뼈 굽히기)
:위팔뼈를 앞쪽 방향으로 들어 올린다.(굽힘) 팔을 모으고 안쪽으로 돌린다, 팔이 고정되면 가슴 우리를 올려 숨 쉬기를 돕는다.
4. Character (성격)
: ① origin(기시부)이 면으로 되어 있으므로 flexion(굽힘)의 각도가 최상부의 muscle fiber(근섬유)에서 최하부의 muscle fiber까지의 각도로 설정된다. ex) bench의 각도 설정 시 : incline 30° ~ decline 50° 까지
: ② muscle belly(근섬유 다발)가 여러 층으로 되어있으므로 internal(내부) 부분에 저항을 전달할 수 있는 isometric contraction(정적 수축: 근육의 길이의 변화 없이 힘이 발생하는 일)을 실시하는 것이 더 많은 muscle fiber(근섬유)를 트레이닝할 수 있다
5. Resistance(저항)
: Gravity(중력) : eccentric(근육의 길이가 늘어나는) 시 최대 상태에서 concentric(수축)될수록 점점 작아진다.
: Variation resistance (저항의 변화) : humerus(위팔뼈)와 수직이 되도록 cable이나 band를 설정하면 concentric(근육의 길이가 짧아지는) 시 저항을 추가시킬 수 있다. 따라서 gravity와 variation resistance를 함께 설정하는 것이 효율적으로 트레이닝할 수 있는 방법이다.
6. 사용동작
: '벤치 프레스' , '팔 굽혀 펴기'를 한다. 성의 문을 밀어서 연다.
7. 지배 신경
: 가쪽/안쪽 가슴근 신경(c5~c8. T1)
대흉근 웨이트 트레이닝 종류: 벤치프레스 (인클라인, 플렛, 디클라인 / 바벨과 덤벨) , 체스트 프레스 머신, 덤벨 플라이, 딥스, 케이블 크로스 오버 등등..
'기능 해부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엉덩이: 둔근(Gluteus) 기능 해부학 (2) | 2022.12.17 |
---|---|
어깨: 후면 삼각근(Deltoid posrerior) 기능해부학 (0) | 2022.12.14 |
어깨: 측면 삼각근(Deltoid lateral) 기능해부학 (0) | 2022.12.14 |
어깨: 전면 삼각근(Deltoid anterior) 기능 해부학 (0) | 2022.12.14 |
등: 광배근(latissimus dorsi) 기능해부학 (0) | 2022.12.1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