Muscle : Hamstrings(슬굴곡근 군)

1. 반건양근 2. 반막양근 3. 대퇴 이두근

 

1. Origin (기시부)

① semitendinosus(반건양근) - tuberosity of ischium(좌골 결절)
② semimembranos(반막양근) - tuberosity of ischium(좌골 결절)
③ biceps femoris(대퇴이두근) long head(장두) - tuberosity of ischium(좌골 결절) short head(단두) - back of femur(대퇴 뒷면)

2. Insertion (정지부)

① semitendinosus(반건양근) - medial surface of proximal end of tibia (정강뼈 거친 면 안쪽)
② semimembranos(반막양근) - medial condyle of tibia (정강뼈 안쪽 관절 융기의 뒷면)
③ biceps femoris(대퇴이두근) - lateral side of head of fibula (종 라이 뼈 머리 가쪽)

3. Function (기능)

: knee joint(무를 관절)를 flexion(굴곡), hip joint(고 관절)의 extension(신전)

① semitendinosus(반건양근) - 종아리(무릎 관절)의 굽힘, 안쪽 돌림, 넙다리뼈(영덩관절)의 폄, 모음
② semimembranos(반막양근) - 종아리(무릎 관절)의 굽힘, 안쪽 돌림, 넙다리뼈(엉덩관절)의 폄, 모음
③ biceps femoris(대퇴이두근) - 긴 머리는 넙다리(엉덩 관절)의 폄, 바깥 돌림, 종아리(무릎 관절)의 굽힘

4. Character(성격)

① ischium(좌골)이 origin(기시부)이므로 hip joint(고관절)의 영향을 받는다.
② muscle belly가 얇고 길기 때문에 과한 장력을 받으면
muscle spindle의 반사작용이 전 부위에서 발생되어 수축도가 증가한다.

5. Resistance(저항)

Gravity (중력)

: concentric(단축성)될수록 저항은 점점 작아지고 eccentric(신장성)할수록 저항은 점점 증가한다.
stiff형태의 운동은 eccentric 할수록 수축도가 점점 증가한다.(ex:squat운동 시)

Variation resistance (변동 저항)

: eccentric(신장성)과 concentric(단축성) 시 cable(케이블)이나 band(밴드)로 추가 저항을 줍니다.

6. Isolation (고립)

: leg curl시 knee joint(무릎 관절)의 flexion(굴곡) 시 hip joint(고관절)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이 효율적이며
stiff(팽팽한) 형태의 운동은 knee joint를 extension(신전)시켜 고정하는 것이 효율적이다.

7. 지배 신경

① semitendinosus(반건양근) - 정강 신경 (L4~S2)
② semimembranos(반막양근) - 정강 신경 (L4~S2)
③ biceps femoris(대퇴이두근) - 긴 머리 : 궁둥 신경의 정강 신경가지 (L5~S2)
짤은 머리: 궁둥 신경의 온 종아리 신경가지 (L5~S2)

8. 사용 동작

① semitendinosus(반건양근) - 걷거나 뛸 때, 다리를 뒤로 차서 종아리를 엉덩이 부위에 붙인다.
② semimembranos(반막양근) - 걷거나 뛸 때, 다리를 뒤로 차서 종아리를 엉덩이 부위에 붙인다.
③ biceps femoris(대퇴이두근) - 걷거나 뛸 때, 다리를 뒤로 차서 종아리를 엉덩이 부위에 붙인다.

+ Recent posts